반응형
23년 정부에서 청년만 최대 5,000만원 지원금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. 참여 방법도 간단합니다. 적금만 잘하면 됩니다!
**만 19세~34세라면 집중 집중!! 청년도약 신청 방법 설명해드리겠습니다!
신청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!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청년 도약 계좌 신청방법이 궁금하시다면 들어오세요!
www.kinfa.or.kr
가입 자격 조건
- 만 19세~34세 (병역 이행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)
- 개인 소득 7,500만원 이하, 가구소득 주우이 180% 이하
단, 총급여 기준 6,000만원 이상은 정부기여금 지급 안 함 -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됨 (이자 + 배당소득 2,000만원 초과)
- 지자체 자산형성상품 및 내일채움공제 동시가입 허용,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 가입 못 함
알고계세요!
=>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만 19-34세의 총 급여 소득 수준이 7,500만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, 자영업자는 연소득이 6,300만원 이하에 해당되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. 연간 근로소득이 6,000만원 이하에 해당되면 매달 납부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!
청년 도약계좌 수령액
Q) 총 급여 3,500만원 A씨가 청년도약꼐좌 가입 후 매월 70만원 납입 시 예상 만기 수령액은?
A) 원금 합계 4,200만원 + 정부 기여금(2.3만원 * 60개월) = 4,817만원 (이자는 비과세 혜택 적용)
청년 도약계좌 상세 정보
- -5년 만기,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 납입
- 총급여 기준 4,8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40~60만원 납입하더라도 정부 기여금 수령 가능
총급여 | 기여금 지급한도 |
---|---|
2,400만원 이하 | 40만원(월 2.4만원) |
3,600만원 이하 | 50만원(월 2.3만원) |
4,800만원 이하 | 60만원(월 2.2만원) |
6,000만원 이하 | 70만원(월 2.1만원) |
심사 기준
- 2023년 6월부터 가입 신청 및 비대면 심사 예정,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
- 개인, 가구 소득은 22년 소득 확정 전까지는 21년 소득 기준으로 가입 여부 판단
- 1년 주기로 개인 소득 심사 후 기여금 지급 규모 조정 예정,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은 미반영
청년희망적금 미가입자 및 중도 해지자는 6월~12월 23일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
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024년 2월 또는 3월 24일 이후에 추가 모집한다고 합니다.
요즘 핫한 청년 혜택!
총 급여 3,600만원 이하인 분, 청년희망적금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. 혜택 조건 비교해 보세요!
<위 내용은 금융위원회 청년도약계좌 발표 운영방향에서 발췌됨>
금융위원회
www.fsc.go.kr
반응형
'my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발렌타인데이 선물 추천 BEST 5 (고르기 어렵다면 무조건 이걸로) (0) | 2023.02.21 |
---|
댓글